2025년 건강검진 변경사항 요약 (작년과 다른 점)
매년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검진 제도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검진 항목과 기준이 일부 변경되었는데요, 이 글에서는 작년(2024년)과 달라진 핵심사항을 요약 정리해드립니다.
1. 혈압 기준 강화 (고혈압 조기 발견 목적)
- 기존 기준: 수축기 140 이상 또는 이완기 90 이상 → 고혈압
- 2025년부터: 수축기 130 이상 또는 이완기 80 이상도 ‘주의 필요’로 분류
👉 고혈압 전단계도 관리 대상에 포함되어 2차 검진 권고 비율 증가
2. 폐암 검진 대상 연령 확대
- 기존: 만 54~74세 중 30갑년 이상 흡연력 있는 자
- 변경: 만 50세까지 확대 + 20갑년 이상 흡연력도 포함
저선량 흉부 CT가 포함되며, 고위험군 조기 발견을 강화했습니다.
3. 생애전환기 검진 대상 기준 변경
- 기존: 만 40세, 만 66세 대상 1회 검진
- 2025년부터: 만 40세부터 5년 주기 검진 추진 논의 중 (시범지역 확대 운영)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지속적인 중년 건강관리 체계를 강화합니다.
4. 청력검사 방식 개선
- 기존의 기계식 청력검사기에서, 자동 청력평가 장비로 전환 중
- 정확도 상승, 노년층 대상 오류율 감소 기대
5. 유방암·자궁경부암 검진 병행 기관 확대
- 기존엔 일부 병원에서만 동시 검사가 가능했으나, 2025년부터 지역 보건소·중소 병원도 검진기관으로 지정 확대
- 검진 접근성 향상 및 여성 암검진 수검률 증가 기대
6. 정신건강 평가 시범 검진 실시
2025년 하반기부터 우울증 자가진단 항목이 시범적으로 일부 지역 건강검진에 도입됩니다.
- PHQ-9 기반의 간단한 설문 평가
- 정신건강 초기 스크리닝 목적
- 향후 전국 확대 가능성 있음
7. 검진 대상자 통지 방식 다양화
- 기존: 우편 통보 중심
- 변경: 카카오톡, 문자, 건강보험공단 앱 푸시 등 모바일 알림 확대
검진 누락률을 줄이기 위한 디지털 알림 시스템 강화
8. 마무리
2025년 건강검진은 정확성, 접근성, 예방성 중심으로 개편되고 있습니다. 본인이 대상자인 항목과 변경된 조건을 정확히 확인하고, 놓치지 않도록 미리 예약하세요.
📌 최신 검진 항목 및 병원 검색: www.nhis.or.kr
📞 공단 고객센터: 1577-10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