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당뇨 의심자 위한 건강검진 항목 설명
고혈압과 당뇨는 별다른 증상이 없이 조용히 진행되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입니다. 국가건강검진에서는 이 두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혈압측정, 공복혈당 검사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혈압·당뇨 의심자가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검진 항목과 수치 기준, 검사 주기 등을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1. 고혈압이란?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심장병, 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고혈압 기준 (2025년 기준)
- 정상 혈압: 수축기 < 120mmHg, 이완기 < 80mmHg
- 주의 단계: 수축기 120~129 / 이완기 < 80
- 고혈압 1기: 수축기 130~139 또는 이완기 80~89
- 고혈압 2기: 수축기 ≥ 140 또는 이완기 ≥ 90
💡 주의: 혈압은 하루 중 변화가 크므로 건강검진에서 높게 나왔다면 2~3회 반복 측정이 필요합니다.
2. 당뇨병이란?
혈액 내 포도당(혈당) 농도가 정상보다 높은 상태로, 췌장의 인슐린 기능 이상으로 발생합니다. 신장, 눈, 혈관 등 전신 합병증 유발 가능성이 높습니다.
🧪 공복 혈당 수치 기준
- 정상: 70~99 mg/dL
- 공복혈당장애: 100~125 mg/dL
- 당뇨병 의심: 126 mg/dL 이상
검진 결과에서 100~125 수준이 반복된다면, 생활습관 개선 또는 정밀검사를 권장합니다.
3. 국가건강검진에서 확인 가능한 항목
- 혈압 측정 (고혈압 여부 확인)
- 공복 혈당 검사 (당뇨 여부 판단)
-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성인병 위험요소 평가)
- 요단백 검사 (신장 이상 여부 확인)
4. 고혈압·당뇨 의심 시 2차 검진
건강검진에서 이상 수치가 확인되면 2차 검진 대상이 됩니다. 이 경우 다음 절차로 진행됩니다:
- 1차 검진 결과 통보서 수령
- 공단 지정 병원에서 2차 무료 정밀검진 예약
- 의료진의 진단서 또는 향후 치료계획 수립
※ 정밀검사 항목: 혈액 재검, 당화혈색소 검사(HbA1c), 단백뇨 검사 등
5. 생활습관 개선 체크리스트
- 📉 저염식 식단 구성 (나트륨 2,000mg 이하)
- 🚶 주 5회 이상,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
- 🚭 금연 및 절주
- 🛏️ 수면 7시간 이상 확보
- ⚖️ 적정 체중 유지 (BMI 18.5~22.9)
6. 마무리
고혈압과 당뇨는 미리 알고, 빨리 관리하면 평생 함께 살 수 있는 질환입니다. 국가건강검진을 활용해 매년 내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의심되는 경우 반드시 2차 검진 또는 전문의 진료로 이어가시길 권장합니다.
📞 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1577-1000
🔎 대상자 조회 및 결과 확인: www.nhis.or.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