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진 항목 중 이상 소견 발견 시 대처 방법
건강검진 결과표를 받았을 때 ‘주의 요함’, ‘재검 필요’, ‘이상 소견 있음’ 등의 문구가 표시되면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대부분은 질병 초기 신호를 알리는 경고로, 적절히 대응하면 충분히 관리 가능합니다.
1. 이상 소견이란?
건강검진 결과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이상 소견’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반드시 질병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은 경우가 포함됩니다.
- 혈압, 혈당, 간수치 등이 정상 수치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 흉부 X-ray, 위내시경 등 영상에서 비정상 발견
- 암검진에서 의심 병변 확인
2. 2차 검진 대상 항목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차 검진 기회를 제공합니다.
-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성인병 관련 항목
- 대장암, 유방암, 간암 등 암검진에서의 의심 소견
※ 2차 검진은 무료이며, 1차 검진일 기준 일정 기간 내에 받아야 유효합니다.
3. 2차 검진 신청 방법
- 공단에서 발송한 결과지 확인
- ‘재검이 필요한 항목’과 2차 검진 가능 병원 확인
- 검진기관에 전화하여 2차 검진 예약
공단 홈페이지 www.nhis.or.kr에서도 병원 검색 가능
4. 일반 병원에서 정밀검사 받기
공단이 지정한 병원이 아닌 일반 병의원에서 정밀검사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아래 경우에는 별도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위내시경에서 용종, 미란, 헬리코박터균 양성 소견
- 유방촬영에서 석회화 또는 결절
- 혈액 검사에서 지속적인 이상수치
5. 실비보험 활용법
정밀검사 시 본인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실손의료보험(실비보험) 청구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 보험사에 ‘검진 이상소견으로 인한 정밀검사’ 사유 명확히 전달
- 의사의 진단서 또는 소견서 필요
- 진료비 영수증, 진료 확인서 등 청구 서류 준비
6. 검진 후 실천 팁
- 건강검진 결과는 단순 확인이 아니라 추적 관리가 핵심
- 정기적으로 같은 항목을 체크해 수치 변화 관찰
- 이상 소견이 반복되면 반드시 전문 진료과 방문
7. 이런 경우 반드시 병원 방문하세요
- 암검진에서 ‘의심’ 또는 ‘재검 권고’ 표시
- 혈압 160 이상, 혈당 140 이상 지속
- 간수치(AST, ALT) 100 이상 또는 감마GTP 고수치
- X-ray에서 폐 결절, 결핵 소견
8. 마무리
이상 소견은 건강을 지키기 위한 경고일 뿐, 반드시 질병을 의미하진 않습니다. 그러나 이를 무시하면 조기 치료 기회를 놓칠 수 있으니 반드시 정확한 검사와 상담을 통해 내 몸 상태를 점검하세요.
📞 건강보험공단 2차 검진 문의: 1577-1000
🔎 검진결과 확인: www.nhis.or.kr
댓글